주택자금차입금, 이자상환공제란?
![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](https://myyolohome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%EC%8A%A4%ED%81%AC%EB%A6%B0%EC%83%B7-2024-01-13-%EC%98%A4%ED%9B%84-3.47.54-1024x660.png)
주택임차차입금은 말이 어려워서 그렇지 보증금을 뜻합니다. 보증금은 전세, 월세 보증금을 말하기도 합니다. 정부에서는 연말정산시 보증금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을 세금에서 공제해줍니다.
원리금 상환액의 40%까지 공제가능하며 400만원 한도입니다. 월세의 경우에도 특정 조건의 주택이라면 공제가 가능하니 신청하는 것이 무조건 이득입니다.
공제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
- 오피스텔 포함해서 전용면적이 85제곱미터를 넘지않는 수도권 도시지역
- 수도권이 아닌 읍 또는 면이라면 100제곱미터 가능
이것 말고도 장기주택저당차입금이란 공제도 있습니다. 주택을 은행 저당권을 설정하여 구매한 경우 이자상환액을 세금에서 공제해주는 것입니다. 이것은 일반 연말정산에서 월세로 공제하는 것보다 까다롭습니다.
- 근로소득이 있어야함, 무주택 or 1주택 세대주
- 이자를 낸 기간이 10년 이상 또는 15년 이상일 때
-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채무자가 주택의 소유주일 때
- 취득주택 기준시가가 5억원 이하일 때
- 소유권이전등기 또는 보존등기일부터 3개월 이내 저당권 설정했을 때
물론 이 조건이 전부 들어맞으면 무조건 이자상환 받아야 합니다. 거주하는 세대원도 조건이 맞으면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항목을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주택자금차입금 이자상환공제 받는 방법, 증명서
개인으로 하든 직장인 신분으로 연말정산으로 신청하든 공통적으로 제출해야되는 서류가 있습니다.
- 주택자금상환 증명서
- 주민등록증
- 기준시가 또는 공시가격 등 주택시세를 알 수 있는 증빙자료
- 등기부등본이나 분양권이라면 분양계약서
주택을 임차하거나 주택을 사놓고 10년 이상 이자를 납입하고 있으면 무조건해야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. 연봉이 높을수록 세금에 대한 비중은 엄청나게 커지기 때문에 사업자라면 경비처리,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 공제처리를 확실하게 해야합니다.
![연말정산 납입형 공제](https://myyolohome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%EC%8A%A4%ED%81%AC%EB%A6%B0%EC%83%B7-2024-01-14-%EC%98%A4%ED%9B%84-3.23.52-1024x149.png)
중소기업이나 대기업, 주택마련저축 등 더 많은 공제혜택이 국세청 홈페이지에 올라와있으니 기준에 맞는 공제혜택을 잘 찾아보세요.
교육비,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
![교육비 세액공제](https://myyolohome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%EC%8A%A4%ED%81%AC%EB%A6%B0%EC%83%B7-2024-01-14-%EC%98%A4%ED%9B%84-3.27.45-1024x342.png)
연말정산 할 때 받을만한 혜택은 또 있습니다. 바로 교육비입니다. 교육비 납입금의 15% 세액공제가 되며 일반적인 교육비의 경우 본인은 한도없이 공제되고 부양가족의 경우 고등학생 이하는 1명당 300만원 대학생이라면 1명당 900만원이 공제됩니다.
교육비 납입증명를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하여 제출하면 됩니다.
![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](https://myyolohome.com/wp-content/uploads/2024/01/%EC%8A%A4%ED%81%AC%EB%A6%B0%EC%83%B7-2024-01-14-%EC%98%A4%ED%9B%84-3.32.21-1024x493.png)
법인이나 사업체를 운영중이라면 이런 회계업무가 장부 프로그램,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세금으로 대부분 나갈 수도 있으니 한번 상담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.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액수가 커졌을 때 %로 떼어가기 때문에 큰 차이를 보입니다.